자하재(紫霞齋)
큼직한 공간이 세분화되어 있다고 해야 할지, 작은 공간들이 집합되어 있다고 해야 할지! 아니, 둘 다인가 보다. 일상의 필요에 따라, 그때그때의 감성에 따라,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공간은 분할되고 독립되었다가도 또 묘한 소통을 일으키는 집합체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한다. ‘전원의 삶을 꿈꾼다’는 것을 건축적으로 표현해보자면,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이 일상에 공존하도록 하는 데 어떤 질서를 부여할 것인가의 고민이라고 할 것이다. 그 질서에 대한 하나의 골격을 마련하는 작업이 자하재의 본질이다.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건물은 밖에서 보면 하나로 구성되어 있지만, 내부는 두 세대가 따로 살 수 있도록 크게 두 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져 있다. 부모와 아들을 위한 ‘한 지붕 두 가구’인 셈이다. 각기 다른 별도의 출입문을 가질 정도로 두 공간은 독립되어 있다. 물론, 매개 공간이 존재한다. 1층에서는 중정을 통해서 2층에서는 구름계단을 통해 서로 오가는데, 흥미로운 점은 지붕이 없다는 것이다. 이웃집을 방문하듯 비가 오면 맞고 가거나 우산을 들어야 한다.
부모 공간, 아들 공간, 공용 공간 등 각각의 모든 실에는 같은 크기로 외부공간이 부속되어 있다. 부속된 외부공간은 행과 열로 나열하듯 덧붙여지는 형식으로 일련의 매트릭스를 연출한다. 내외부 공간이 얽혀 있는 집합체의 모습은 마치 ‘질서를 갖춘 미로’ 같은 역설적인 모습으로 드러나 있다. 그러다 보니 어느 공간에서든 중정이 눈에 들어오고, 심지어는 한 자리에서 각기 다른 서너 개의 중정이 보이기도 한다.
소나무가 심겨 있는 송정, 매화나무가 자라는 매정, 대나무가 자라는 죽정, 단풍나무가 심긴 풍정 등 각기 다른 성향의 모든 중정은 벽과 벽으로 나누어지고 또 벽과 벽이 집합되고 중첩되어 있는 모습이다. 그렇다고 막혀 있거나 갇혀 있는 것은 아니다. 노출콘크리트 벽마다 열린 개구부를 두어 중첩된 공간을 들여다볼 수 있다. 일정한 크기로 프레임 된 풍경을 바라보는 모습은 확 열려 있는 모습과는 또 다른 운치가 있다.
모든 공간에서 중정을 마주하니 이 또한 자하재에서만 경험하는 비밀한 멋이다. 바닥에 앉아 차 마실 때 다르고, 서서 거닐 때 다를 것이다. 비 오는 날 다르고 볕이 쨍쨍한 날 다를 것이며, 꽃 피는 춘삼월과 녹음 우거지는 계절 따라도 다를 것이다. 집안 어디에서나 집 밖 어디에서나 자연과 함께 다양한 변주의 일상이 이루어지는 집이었으면 좋겠다는 것이 이 세밀한 집합체가 제안하는 바람이다.
작품명: 자하재 / 위치: 경기도 파주 헤이리 아트벨리 / 설계: 와이오투도시건축 / 설계담당: 강정은, 박현, 이기석 / 감리: 이기석 / 인테리어: 변재희 / 구조: ALT구조 / 기계: 세아엔지니어링 / 전기: 하나하이테크 / 시공: MID건설 / 대지면적: 546.66m2 / 건축면적: 224.16m2 / 연면적: 325.27m2 / 건폐율: 41.01% / 용적률: 49.22% / 규모: 지하1층, 지상2층 / 주요구조: 철근콘크리트조 / 설계기간: 2002.3~2003.3 / 시공기간: 2003.4~2005.2 / 사진: 김재경
Project: JahaJae Residence – Blending Living Programs / Location: Heyri Art Valley, Paju, South Korea / Architect: Yo2 Architects / Project team: Jungeun Kang, Hyun Park, Giseok Lee / Construction supervision: Giseok Lee / Interior designer: Jaehee Byun / Structural engineer: ALT Structure / Mechanical engineer: Seah Engineering / Electrical engineer: Hana H Tech / Contractor: MID construction / Site area: 546.66m2 / Building area: 224.16m2 / Gross floor area: 325.27m2 / Building coverage ratio: 41.01% / Floor area Ratio: 49.22% / Building Scope: B1,2F / Structure: reinforced concrete / Design: 2002.3~2003.3 / Construction: 2003.4~2005.2 / Photograph: Jaekyeong Kim